반응형
ssl 적용과정 기록
먼저 도메인은 발급받았다고 가정한다.
1. 우분투 서버에 certbot 설치
sudo snap install --classic certbot
2. nodejs 기반이기 때문에 standalone 형식을 사용한다.
sudo certbot certonly --standalone
2-1) 이메일 주소 작성
2-2) Y
2-3) Y
2-4) 연결한 도메인
Successfully received certificate.
라고 떠야함
3. fs 설치
npm install fs
4. express 파일에 적용
const express = require('express');
const https = require('https');
const fs = require('fs');
const ssl_options = {
ca: fs.readFileSync('/etc/letsencrypt/live/도메인/fullchain.pem'),
key: fs.readFileSync('/etc/letsencrypt/live/도메인/privkey.pem'),
cert: fs.readFileSync('/etc/letsencrypt/live/도메인/cert.pem')
};
const server = https.createServer(ssl_options, app).listen(443);
보안을 위해선 파일을 따로 관리한 후 import 하는게 좋다.
반응형
'node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odejs - redis Sorted SET - ZADD (0) | 2022.08.25 |
---|---|
nodejs- 현재시간 숫자만 구하는 법 (0) | 2022.08.25 |
[node.js] redis 연결 (0) | 2022.08.23 |
[Aws ec2] nginx + Socket.io 연동 (0) | 2022.04.19 |
소켓 채팅 기술선정 (0) | 2022.04.19 |
댓글